취업난이 심해지면서 구직자들의 공백기도 길어지는 추세다. 긴 공백기는 그만큼 구직자들에게 큰 스트레스가 된다. 기업 인사담당자 10명 중 5명은 공백 기간에 따라 취업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이 생각하는 평가에 영향이 없는 공백 기간은 평균 7.5개월로 나타났다. 하지만 합당한 공백 사유가 있을 경우 페널티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과 공백 기간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자.
-
신입 채용 시 공백 기간이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사담당자 51.3%는 '기간에 따라 영향이 다르다'고 답했다. 이어 '기간과 관계없이 영향을 미친다'는 29.8%였으며, 19%는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
기간에 따라 영향이 다르다고 답한 기업들이 생각하는 평가에 영향이 없는 공백 기간은 평균 7.5개월로 조사됐다.
-
인사담당자들은 채용 평가 시 공백 기간과 공백 사유 중 당락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공백 사유'를 꼽은 응답이 41.5%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둘 다 비슷하다' 40.5%, '공백 기간'은 18%에 그쳤다.
-
서류상에서 공백기를 참작할 수 있는 요소로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6.5%가 '자격증 등 관심 분야에 대한 공부'를 선택했다. 이어서 '가족 간병 등 불가피한 개인 사정' 38.5%, '아르바이트 등 경제활동' 34.5%, '석사, 유학 등 학업을 위한 준비' 27.5%, '건강 문제로 인한 치료' 22% 순이었다.
-
면접 때 공백 사유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상황은 '특별한 이유 없이 공백기를 가졌을 때'가 57.6%의 응답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공백기, 공백 사유를 감추려 할 때'가 56.3%가 답변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공백기의 활동 내용을 부풀릴 때' 29.8%, '취업 목표를 자주 바꿨을 때' 25.2%, '지원 직무와 관계없는 일을 했을 때' 23.8% 순으로 답했다.
-
반면 공백 사유가 참작돼 평가에 불이익이 없는 경우는 '공백기에 대한 목표가 뚜렷했을 때' 59.6%, '지원직무에 도움이 된 활동을 했을 때' 49.7%, '구체적으로 이룬 성과가 있을 때' 47.4%, '공백기에 대해 자신감 있게 얘기할 때' 36.8% 순으로 응답했다.
- 권연수 기자 likegoo@chosun.com
- 그래픽= 김미래
최신뉴스
Copyright ⓒ 디지틀조선일보&dizz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