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는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이하 R&D)'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본 사업은 도로상 가로등의 기능을 불빛만 비춰주는 단순한 조명이 아닌 교통량, 결빙, 사고, 정체 등 각종 도로환경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 저감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올해부터 2023년까지 4개 부처가 26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공동 개발하는 사업이다.
-
이는 가로등과 같은 도로조명에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접목하여 도로상 위험상황을 직접 수집·판단하여 '디지털 사인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I2X기술로 주변 행인과 차량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I2X기술은 Infra to Thing의 약자로 인프라(도로변 기지국 등)와 사물 간 무선통신을 의미한다.
횡단보도나 교차로, 터널 등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에서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즉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국토부에서는 도로조명 플랫폼에서 제공할 서비스 전략수립과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등 총괄업무를 수행하고, 정보처리·통신 플랫폼(과기정통부), 멀티센서 융합 도로조명 시스템(산업부), 도시재난안전관리 연계기술(행안부) 등 부처별 업무를 분담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안전 시설물이 부족한 국도?광역시도 등 도심 내 사고 다발지역에 맞춤형 안전 컨트롤 타워로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김경희 기자 lululala@chosun.com
최신뉴스
Copyright ⓒ 디지틀조선일보&dizz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