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트라우마 심리 치료법, 세계 최초로 과학적 원리 입증

기사입력 2019.02.14 09:57
  • 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정신과에서 활용하는 트라우마 심리치료법의 효과가 세계 최초로 동물실험으로 입증되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신희섭 단장 연구팀은 일명 ‘트라우마’라 부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료하는 심리치료 요법의 효과를 동물실험으로 입증하고 관련된 새로운 뇌 회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네이처(Nature, IF 41.577) 온라인판에 2월 14일 새벽 3시(한국시간) 게재되었다.

    연구진은 고통스러웠던 상황의 기억으로 공포반응을 보이는 생쥐에게 좌우로 반복해서 움직이는 빛 자극(양측성 자극)을 주자 행동이 얼어붙는 공포반응이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시간이 지난 후나 다른 장소에서 비슷한 상황에 처할 경우에도 공포 반응이 재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생쥐에게 적용한 이 방법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심리치료 요법 중 하나인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과 같은 것으로, 환자가 공포기억을 회상하는 동안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이게 만드는 시각적 운동을 동반해 정신적 외상을 치료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입증했다.

    연구진은 이번 동물실험에서 뇌 영역 중 공포기억과 반응에 관여하는 새로운 뇌 신경회로도 발견했다.

    상구(안구운동과 주위집중 담당)→중앙 내측 시상핵(공포기억 억제 관여)→편도체(공포 반응 작용)로 이어지는 생쥐의 신경회로를 광유전학 기법으로 강화하자 공포반응 감소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고, 반대로 억제하자 공포 반응 감소 효과가 사라졌다. 이로써 행동/관찰 실험, 신경생리학 기법 등을 통해 공포반응 감소 효과는 시각적 자극을 받아들인 상구에서 시작해 중앙 내측 시상핵을 거쳐 편도체에 도달하는 신경회로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현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완벽하게 치료할 수 있는 약은 없다. 주로 항우울제 등이 치료에 활용되지만, 증상이 흔하게 재발해 치료가 쉽지 않은 정신과 질병이다. 공포기억을 회상하는 동안 좌우로 움직이는 빛이나 소리 등이 반복되면, 정신적 외상이 효과적으로 치료된다는 사실은 기존에도 보고된 바 있었으나, 과학적인 원리가 밝혀지지 않아 도외시하는 정신과들이 많은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경험적으로만 확인된 심리치료 기법 효과를 동물실험으로 입증함으로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법의 과학적 원리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신희섭 기초과학연구원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단 한 번의 트라우마로 발생하지만, 약물과 심리치료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라며, “앞으로도 공포기억 억제 회로를 조절하는 약물이나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에 집중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쉽게 치료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