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알아두면 유용한 '온누리상품권', 구매처와 사용처

기사입력 2019.01.23 10:41
  • 사진출처=전통시장 통통 사이트
    ▲ 사진출처=전통시장 통통 사이트

    1월 21일부터 10% 할인 판매를 시작한 온누리상품권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이 많다. 온누리상품권은 설 명절을 앞두고 전통시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40%에 달하는 전통시장 소득공제율까지 고려하면 보다 저렴하게 명절용품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을 보호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상품권으로, 전국 1400여개의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온누리상품권은 종이와 전자상품권으로 발행되는데 종이상품권은 5천원권, 1만원권, 3만원권으로 60%이상 사용하면 현금으로 잔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 온누리전자상품권은 5만원권과 10만원권으로 발행되며, 카드 단말기를 통해 잔여 금액만큼 결제하는 충전식 카드다.

    온누리상품권 사용 방법
    온누리상품권 특별할인 혜택
    오는 1월 31일까지
  • 온누리상품권을 조금 더 저렴하게 사려면 오는 1월 31일까지 구매하면 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1월 21일부터 31일까지  온누리상품권 개인구매 시 할인율을 현재 5%에서 10%로 확대하기 때문이다. 단, 신분증을 지참하고 현금으로 구매해야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월별 할인구매 한도금액도 현재 30만원에서 50만원으로 확대되며, 한도금액 확대는 1월 21일부터 2월 20일까지 적용된다.

    온누리상품권 판매처
    총 14개 은행
  • 사진출처=전통시장 통통 사이트
    ▲ 사진출처=전통시장 통통 사이트

    온누리상품권은 14개 은행(새마을금고, 기업은행, 우리은행, 우체국, 신협, 농협, 대구은행, 신한은행, 경남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수협, 국민은행)에 구매할 수 있다.

    온누리상품권 세부 판매처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운영하는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면 된다.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에서 '온누리상품권' 코너를 클릭한 후 '구매지점 찾기'를 누르면 현재 위치가 가까운 구매처를 확인할 수 있다.

    온누리상품권은 전자상품권으로도 구매할 수 있다. 온누리전자상품권은 가맹점 계좌와 자동 입금해 사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쇼핑몰 등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온누리전자상품권 구매시에는 5만원권과 10만원권 등 고액의 카드형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다. 온누리상품권 전자상품권은 우리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BC카드 등 총 7곳에서 취급한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1,400개 전통시장과 상점가, 18만개 가맹점
  •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1,400여 개 전통시장과 상점가, 18만여 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에서 '온누리상품권' 코너를 클릭한 후 '가맹점포 찾기'를 누르면 가맹점포를 확인할 수 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