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열사병' 막으려면 '이것'만은 꼭 알아두세요

기사입력 2018.07.09 11:17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털이 열 발산을 방해해 체온 조절이 어려운 개는 여름에 '열사병'을 특히 조심해야 한다. 여름철 더위에 약한 반려견을 위해 보호자가 꼭 알아둬야 할 반려견 건강 관리 방법을 알아보자.

    반려견 열사병 잘 생기는 환경
  • 열사병은 신체의 열 발산 체계가 과도한 외부 열을 수용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한다. 일반적으로는 반려견 체온이 41℃(도) 이상(평소 38℃∼39℃ 정도) 오르는 때를 말한다.

    반려견의 열사병은 주로 환기가 잘 되지 않아 덥고 습한 환경, 문을 닫은 채 차에 방치된 경우, 밖에 쉴 수 있는 그늘이 없는 경우, 마실 물이 부족한 때 발생하기 쉽다. 특히 반려견이 비만, 퍼그나 불도그처럼 납작한 코, 두껍고 긴 털, 호흡기 질환이나 심장 질환을 앓는 경우에 발병이 더 쉽다.

    반려견 열사병 증상과 대처법
  • 열사병에 걸리면 침을 흘리며 헐떡이거나 심박 수가 빨라지고, 호흡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다. 또 구토나 설사, 근육 경련, 발작도 나타난다.

    열사병 증상을 보이면 즉시 시원하고 그늘진 곳으로 옮긴다. 털과 피부에 시원한 물을 뿌리고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떨어뜨려야 한다. 이때 얼음이나 얼음물을 사용하면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열사병은 반려견의 건강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응급처치로 회복했다고 해도 이후에 반드시 검진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여름에는 자동차 안에서 열기를 견디지 못해 개가 죽는 사고도 종종 발생하므로 차에 반려견만 두는 일이 없도록 한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