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실내에서 재배하기 좋은 약초 5종

기사입력 2017.11.21 11:06
  • 올겨울에는 가정에서도 쉽게 키울 수 있고 쌈이나 나물로 먹을 수 있는 약초를 재배해보는 건 어떨까? 한약재의 원료인 약용식물은 독특한 향과 모양으로 정신적 안정감을 선사하고, 가정에서 약재로도 활용할 수도 있다. 실내에서 관상용으로 키우기 쉬우면서 식재료로 활용하기 좋은 약용식물과 효능, 그리고 실내에서 약초 재배 시 알아두면 좋은 점을 알아보자.

    01
    박하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박하는 멘톨 성분을 함유해 시원한 향이 나기 때문에 두통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고, 향료로 활용하거나 음식에 첨가할 수 있다. 박하는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실내에서 기르기에 적합하다.

    02
    작약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작약은 꽃이 크고 꽃 색깔도 다양해 관상용으로 적합한 약초이다. 뿌리를 말려서 달여 먹으면 통증이 가라앉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데 좋다.

    03
    일당귀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일당귀는 향이 독특하고 기능성이 풍부해 건강식을 자주 해 먹는 가정에서 쌈 채소로 길러서 먹기 좋다. 생장이 빠르지는 않으나 특별한 병충해가 없어 재배하기도 쉽다.

    04
    더덕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더덕은 반그늘에서 잘 자라고 덩굴성 식물이기 때문에 실내를 꾸미기에 제격이다. 더덕은 뿌리뿐만 아니라 잎도 먹을 수 있는데 더덕 잎에는 항산화활성을 가진 성분이 있어 노화를 방지한다.

    05
    자소엽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 사진출처=농촌진흥청

    자소엽 잎을 건조해서 달여 먹으면 소화불량에 좋고, 잎을 따서 쌈으로도 먹을 수 있다.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 잎은 진한 보라색을 띤다.

    실내에서 약초 재배할 때 알아둘 점

    실내에서 약초를 재배할 때는 햇빛, 온도뿐만 아니라 흙, 화분 등 환경도 중요하다. 약초는 반음지 식물이지만 최소 6시간 정도 볕이 잘 드는 곳에서 키우는 것이 좋다. 또한, 실내 온도가 20∼25℃로 유지되며, 통풍이 잘 이뤄지는 장소라면 연중 재배도 가능하다.

    약초를 심을 때는 뿌리가 잘 발달하는 약초 특성상 너비가 넓고 깊이가 있는 화분을 고르는 것이 좋고, 물이나 비료를 과다하게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흙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원예용 상토를 사용하면 된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