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승진은 어떻게 이뤄질까? 여전히 능력이 아닌 학력과 근속연수에 따라 우선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승진제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승진제도의 문제점, 기업별 승진제도 시스템, 승진의 중요 기준 등 기업에서 이뤄지는 '승진제도'에 대한 조사 결과를 알아보자.
-
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가 채택하고 있는 승진·승격시스템은 무엇인가에 대해 일정 기간 근무 후 승진되는 '승진연한제도'라고 대답한 직장인이 35.5%로 가장 많았다. 이어 근속연수나 학력 상관없이 업적이나 능력 우수자의 과감한 '발탁승진제도'가 29.3%, 고과 결과에 따른 '차등승진제도'가 25.3% 순으로 조사됐다.
-
기업들의 승진제도는 기업형태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공기업의 경우 '승진연한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경우가 45.6%로 가장 높았다. 대기업은 고과결과에 따른 '차등승진제도'가 32.6%, 외국계기업은 능력 위주의 '발탁승진제도'가 46.2%로 높게 나타났다.
-
기업들의 승진·승격인사에서 가장 중시되고 있는 기준은 '근속년수'가 24.9%로 가장 높았다. 이어 '능력이나 업적'을 중시한다는 23.7%로 2위, '업무성과' 19.4% '근무 태도' 12.0%, '회사에 대한 태도' 7.4%, '나이' 3.2%, '리더십' 2.7%, '승진시험' 1.7%, '학력' 1.5% 등의 순이었다.
-
그렇다면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회사의 승진·승격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일까. 직장인 27.3%는 '직무수행 능력과 무관한 성과의 결정'을 1위로 꼽았다. 뒤이어 '관리자의 연공적 운용' 19.2%, '능력개발과의 연계성 미약' 19.2%, '자격 기준에 따른 절대평가의 미흡' 19.0%, '임금과의 연계성 미흡' 13.2% 등의 의견도 있었다.
- 김경희 tongplus@chosun.com
- 그래픽= 고이정
최신뉴스
Copyright ⓒ 디지틀조선일보&dizz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