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오른잡이? 왼잡이? 내 몸의 주사용 방향을 알아내는 ‘셀프 테스트’

기사입력 2017.12.04 11:07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를 구분하듯, 주로 사용하는 방향에 따라 오른잡이와 왼잡이를 구분할 수 있는 신체기관은 또 있다. 바로 발, 눈, 이 등 좌우 대칭을 이루는 것들이다.

오른잡이와 왼잡이의 구분이 신체의 우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좌우대칭을 이루는 신체 기관 중 내 몸의 주사용 방향을 아는 것은 건강을 위해 중요하다. 무의식적으로 한쪽만 반복해 사용하다 보면, 신체 불균형을 초래해 통증, 질병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몸 중 오른잡이와 왼잡이를 구분할 수 있는 부위는 어디이며, 그 구분법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 오른발잡이-왼발잡이
  • 오른손잡이, 왼손잡이와 마찬가지로 오른발잡이, 왼발잡이는 주로 사용하는 발이 어느 쪽인가에 따라 나뉜다. 오른발잡이와 왼발잡이의 구분은 축구선수의 포지션을 정할 때나 수상스키, 보드 등을 한쪽으로 진행하는 레포츠를 즐길 때 많이 사용되며, 양손잡이와 마찬가지로 두 발의 사용빈도나 편한 정도가 비슷한 이들은 양발잡이라고 한다.


    오른눈잡이-왼눈잡이

  • 사물을 볼 때 두 눈은 같은 기능을 할 것 같지만, 눈에도 오른눈잡이와 왼눈잡이가 있다. 대부분 사람은 사물을 볼 때 한쪽 눈을 중심으로 사물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눈을 보조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때 주로 사용하는 눈을 주시안(Fixating eye), 고정시안, 우세안, 우위안 등으로 부르는데, 통계에 따르면 인구의 3분의 2 이상이 오른눈잡이며 양눈잡이는 드물다고 한다.

    주시안은 주로 안과에서 백내장이나 라식수술을 할 때 따지는데, 눈의 우세성에 따라 양눈을 다르게 수술하기 때문이다.


    오른치아잡이-왼치아잡이
  • 음식물을 씹을 때 주로 한쪽으로만 씹는 사람을 ‘한쪽 어금니 잡이’라고 하며, 주로 씹는 방향에 따라 오른치아잡이-왼치아잡이라고도 한다.

    오른치아잡이든 왼치아잡이든 음식물을 한쪽으로만 씹는 습관은 턱관절의 균형을 깨뜨려 부정교합, 안면 비대칭을 일으키며, 신체 불균형으로 인한 두통, 어깨 통증, 허리 통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만약 한쪽으로 씹는 것이 불편하다면 충치나 잇몸 염증, 부정교합 등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치과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하며, 단순한 습관으로 인한 것이라면 의식적으로 양쪽으로 골고루 씹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