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통계

'한국의 편액' 550점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 등재

기사입력 2016.05.25 17:48
  • 사진출처: 한국국학진흥원 홈페이지
    ▲ 사진출처: 한국국학진흥원 홈페이지
    '한국의 편액'이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지역 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등재된 편액 550점은 한국국학진흥원이 189개 문중으로부터 기탁받아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건물의 건축 목적에 따라 주거공간(137점), 추모공간(64점), 교육공간(231점), 수양공간(118점) 등 다양한 공간에 걸려있던 것이다.

    한국에서 편액은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남은 편액들은 대부분 조선 시대에 제작된 것이며 이번에 등재 신청한 편액은 16세기~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이다.

    편액이란 건물의 처마와 문 사이에 글씨를 새겨 걸어둔 표지판으로, 건물의 기능과 의미, 건물주가 지향하는 가치관을 3~5자 정도로 함축한 기록물이다.

    편액의 글씨는 조선 시대 선비들의 생활과 사유체계를 표현한 것으로, 조선 선비문화와 선비 정신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다. 또 글씨는 당대의 국왕, 명필, 문인·학자들이 남긴 것으로, 필적 안에는 제작 당시의 시대정신과 가치관, 서예가의 예술혼이 담겨 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