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이 암 환자의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AI 기반 조직 분석 플랫폼을 공개한다.

루닛은 4일 개최된 미국 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에서 효과적인 암 치료를 위한 ‘루닛 스코프(SCOPE)’ 신제품을 소개하고, 관련 연구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면역항암제는 환자에 따라 치료 반응이 달라, 병리과 전문의가 조직 슬라이드를 통해 사전 분석한 결과로 투여 여부를 결정한다. 루닛은 연구를 통해 신제품 ▲루닛 스코프 PD-L1과 ▲루닛 스코프 IO를 이용할 때 면역항암제 치료 대상자를 더 정확하게 찾을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루닛 스코프 PD-L1’이 조직 슬라이드를 분석한 모습 /이미지 제공=루닛

‘루닛 스코프 PD-L1’은 조직 분석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돕는 솔루션으로, 현재 면역항암제의 바이오마커인 단백질 ‘PD-L1’을 AI로 분석해 치료 반응을 사전 예측한다. 병리과 전문의와 루닛 스코프 PD-L1이 동일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두 값의 일치도는 매우 높았다. 또한, 루닛 AI는 전문의가 ‘투여 불가’로 판단한 환자군에서 치료 반응을 보일 수 있는 환자를 약 50% 추가로 찾아냈다.

연구를 총괄한 루닛의 옥찬영 의학총괄이사(CMO-Oncology)는 “기존에는 PD-L1 발현율이 기준이었지만, 이를 유일한 바이오마커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38만 개 암세포의 PD-L1 발현 결과를 학습한 루닛 스코프 PD-L1을 사용할 경우, 면역항암제에 반응하는 환자를 더 많이 찾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루닛 스코프 IO’가 조직 슬라이드를 분석한 모습 /이미지 제공=루닛

또 다른 신제품인 ‘루닛 스코프 IO’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AI 기반 바이오마커와 환자의 면역 세포를 분석해 치료 반응을 예측한다.

루닛은 미국 스탠퍼드대학교병원을 비롯해 전남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에서 수집한 1,000개 이상의 실제 환자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 결과, ‘루닛 스코프 IO’가 환자의 면역 세포를 이용해 분석한 AI 점수가 높을수록 면역항암제 치료 예후가 좋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폐암을 비롯한 주요 암 종류 9가지를 포함하고 있어, 루닛 스코프 IO가 다양한 암 치료의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다고 설명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암 치료 분야의 면역항암제 연구는 전 세계 병원과 제약사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루닛 AI가 이 분야에서 창출할 수 있는 효과는 2019년부터 여러 국제 학회 등에서 입증된 바 있다. 올해 루닛 스코프 제품의 출시로 다양한 면역항암제 연구에 참여해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증거를 확보할 예정이며, 이는 의미 있는 매출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루닛은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이 암 환자의 면역세포 밀도 및 분포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여러 차례 ASCO에서 발표한 바 있다. 2019년부터 3년 연속, AI 기반 바이오마커 개발 연구와 관련해 꾸준히 초록을 발표해 온 루닛은 올해 ‘포스터 디스커션’ 세션을 포함해 총 4개의 포스터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